Baicalin

- 성분정보-
- IUPAC name: (2S,3S,4S,5R,6S)-6-(5,6-dihydroxy-4-oxo-2-phenylchromen-7-yl)oxy-3,4,5-trihydroxyoxane-2-carboxylic acid
- 이명:Baicalein 7-O-glucuronide, 7-D-Glucuronic acid-5,6-dihydroxyflavone
- CAS No. : 21967-41-9 - 분자식: C21H18O11 - 분자량: 446.36g/mol
장기간 고지방식이에 의한 지방간 모델 연구 결과, 시험군의 내장지방과 체중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, 혈청 콜레스테롤, LDL-콜레스테롤, 유리지방산, 포도당, 인슐린 농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. 간의 AMPK와 ACC (acetyl-CoA carboxylase)의 인산화가 증가하였고 FAS, SREBP-1c의 발현이 감소됨.
대부분의 연구에서 간 손상 유발 시 상승하였던 혈청과 간의 ALT (alanine aminotransferase), AST (aspartate aminotransferase) 수준이 시험물질 투여로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음.
간 손상에 대한 baicalin의 효과는 항산화, 항염증 측면에서 주로 관찰되었음.
모두 6건의 항산화 연구들 중에서 간의 지질과산화물 (MDA), 단백질산화물 (carbonyl)과 혈청 MDA가 간 손상 유도군에 비하여 감소되는 것을 관찰하였거나 간 GSH가 증가한 연구가 있었음.
간 손상 유발 시 증가하였던 혈청 또는 간의 TNF-a, IL-6, IFN-g, iNOS, COX-2 등의 수준이 낮아짐. baicalin이 항산화 기전에 의하여 간 손상을 개선하는 것으로 제안되고 있음.
염증 완화와 괴사의 개선을 관찰한 연구도 있음.
세포질과 핵 내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여 NF-kB의 이동을 관찰하였는데 시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용량의존적으로 유의적으로 세포질에서는 증가하고 핵에서는 감소함.
|
|
|